뉴욕 주식시장의 변동성 지수는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할 때 아주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우리 같은 개미들은 하나의 정보라도 더 활용해야 승률을 높일 수 있겠죠? 변동성 지수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최대한 어려운 용어(했지 등)는 사용하지 않고 개념과 활용 방법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겠습니다.
1. 변동성 지수(VIX)의 개념
- 우선 변동성 지수가 상승한다는 것은 해당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그만큼 투자손실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사전적인 의미는 옵션 거래할 때 미래에 해당 옵션의 가치가 떨어질지 올라갈지를 예측하고 투자를 하게 되는데, 내재변동성은 시장 참여자들이 현재의 시점에서 일정 시점 이후의 시장 변동에 대한 기댓값을 내포하는 것과 같습니다.
2. 변동성 지수의 특징
- 아래 그림은 변동성 지수와 S&P 500을 비교한 것인데, 변동성 지수가 올라가면 지수는 떨어지고 변동성지수가 내려가면 지수가 올라가는 음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 특히 변동성지수는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 보다 하락할 때 더 크게 움직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나타내는 공포지수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3. 변동성 지수의 활용
- 변동성지수는 투자자들이 향후 시장 변동의 위험을 파악하는 투자판단 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변동성에 따른 위험을 해지하거나 투자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입니다.
- 고수 개미들은 변동성 지수가 극에 달았을 때 시장의 공포심이 커진 것이므로 매수 신호라고 간주합니다.
- 변동성 지수 20 ~ 30 : 안정적인 시장
- 변동성 지수 30 ~ 40 : 불확실성, 리스크, 투자자의 공포로 인해 변동성이 높아졌다고 판단. 가진 주식의 50% 매도
- 변동성 지수 40 ~ : 매우 위험 신호(2020년 코로나 사태 때 80을 넘김), 가진 주식의 100% 매도
- 시장이 무지 성으로 상승 : 변동성지수 낮음
- 시장이 예전만큼 상승세를 보여주지 않을 때(고점에서 치열하게 매수/매도가 일어남) : 변동성 지수 천천히 상승
- 시장이 무지성으로 하락 : 변동성지수 폭등
위와 같이 변동성 지수를 잘 활용하면, 하락장 탐색기로 써먹을 수 있습니다. 매수/매도 타점 그리고 시장의 불확실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지수를 이용해 인버스 또는 레버리지를 투자하여 큰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 알바 또한 아래와 같이 변동성 지수를 꼭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무료 공유[모의투자] > 주식 기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CPI 이 후 한국 증시(코스피/코스닥) 방향성과 대응에 대한 고찰 (18) | 2022.11.12 |
---|---|
10년물 그리고 2년물 국채금리 역전의 의미와 활용법 (12) | 2022.09.23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활용법 (26) | 2022.09.16 |
2. 엠파이어스테이트(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 지수가 우리나라 증시에 미치는 영향 (6) | 2022.08.16 |
1. 선물과 옵션 지표를 바탕으로 코스피/코스닥 상승/하락 예측과 활용법 (2)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