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선물 투자 시 뉴스(거시경제 지표, 달러 등)와 기술적 분석(수급, 볼린저 밴드 등)과의 상관 관계
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기반 주식 응용/선물 스터디(with coding)

주식/선물 투자 시 뉴스(거시경제 지표, 달러 등)와 기술적 분석(수급, 볼린저 밴드 등)과의 상관 관계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머 알바입니다. 주식/선물 투자를 하면서 뉴스나 기술적 분석 중 무엇을 더 우선순위에 두는 것이 좋은지 경험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종합결론만 보셔도 됩니다.

 

1. 종합 결론

 1) 뉴스나 기술적 분석이 동일한 경우

 이 경우는 상당히 강한 장이 될 경우가 있습니다. 25년 2월 3일 기준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상당히 곤혹 스러운 뉴스들이 많이 쏟아졌고 뿐만 아니라 캐나다/멕스코의 GDP 및 경제성장률이 1% 이상 감소한다고 하죠. 가장 강력한 동맹국도 중국과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면 때리는데 우리나라인들 피해 갈 수 있겠습니니까. 주식자동매매 공유 버전에 있는 시황 분석을 보시죠. 51점대로 상당히 좋지 못한 점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황분석
시황분석

 

 그리고 오늘 수급과 라인을 한번 확인해 보실까요? 코스피는 개인만 매수하고 선물 옵션 모두 외국인이 팔고 있습니다. 서물자동매매프로그램의 라인을 보셔도 하방으로 강하게 형성되어 있지요.

수급과 라인
수급과 라인

 

 이렇게 동일하게 가면 아주 강한 하락 파동이 나오게 됩니다. 그런날은 아래와 같이 수익을 쉽게 낼 수 있습니다.

금일 수익
금일 수익

 

 2) 뉴스나 기술적 분석이 디커플링 생겼을 경우

 이경우가 상당히 애매합니다. 뉴스는 매우 좋은데 외국인 수급이 미친듯이 나가고 또는 뉴스는 안 좋은데 외국인 수급이 미친 듯이 들어오는 경우지요. 이런 경우에는 꼭지 아니면 바닥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더라도 이미 많이 오르거나/내린 상황에서 쉽게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배팅을 아주 짧게 하셔야 합니다. 리스크 조절이지요. 

 선물자동매매프로그램은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디커플링이 발생하면 기술적으로만 분석하여 매우 짧게 스윙을 가져 갑니다. 기술적인 부분을 가져가는 이유는 뉴스는 장기적 성향이, 기술은 단기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지요. 그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시죠.

 

2. 뉴스와 기술적 분석의 관계

뉴스는 주식 시장의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기술적 분석은 투자자들이 이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고 반응하는지를 반영합니다.

 1) 거시경제 뉴스 → 기술적 분석에 미치는 영향
• 금리 정책 (연준 발표, 금리 인상/인하)
→ 금리 인상 시 유동성 감소 → 주가 하락 (데드 크로스, 하락 추세 형성)
→ 금리 인하 시 유동성 증가 → 주가 상승 (골든 크로스, 상승 추세 형성)
• 환율 (달러 가치 상승/하락)
→ 달러 강세 시 외국인 투자자 자금 유출 → 수급 악화 → 주가 하락
→ 달러 약세 시 외국인 자금 유입 → 수급 개선 → 주가 상승
• 인플레이션 지표 (CPI, PPI 등)
→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 긴축 정책 가능성 증가 → 기술적 분석상 저항선 형성 및 하락
→ 예상보다 낮은 인플레이션 = 완화적 정책 기대 → 지지선 형성 및 상승 가능

 2) 뉴스와 기술적 지표의 반응 패턴
• 볼린저 밴드
→ 변동성이 큰 뉴스(예: CPI, FOMC 발표) 이후 볼린저 밴드가 확대되며 급등/급락
→ 예상보다 부정적인 뉴스 → 하단 밴드 터치 및 이탈 가능
→ 긍정적인 뉴스 → 상단 밴드 돌파 가능
• 이동평균선 & 데드/골든 크로스
→ 뉴스에 따른 단기 변동성이 크면 5일, 20일 이동평균선에서 데드 크로스 발생 가능
→ 장기적으로 경기 회복 기대 시 60일, 120일선에서 골든 크로스 형성 가능
• 거래량과 수급
→ 호재 뉴스 → 외국인·기관 매수세 증가 → 거래량 급증
→ 악재 뉴스 → 기관·외국인 매도 증가 → 거래량 급증하며 하락

 

3. 뉴스와 기술적 분석의 조합 활용법

• 거시경제 지표 발표 전후의 기술적 패턴 분석
→ 중요 경제 지표 발표 전, 볼린저 밴드 수축 시 급등/급락 가능성 높음
→ 이동평균선이 수렴 중일 때, 뉴스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큼
• 주요 뉴스가 기술적 지표에 선반영되는지 확인
→ 시장이 특정 뉴스(예: 금리 인상)를 이미 반영한 경우, 뉴스 발표 후 기술적 반등 가능
→ 예상보다 강한 악재가 나오면 기술적 지표가 무너지고 급락할 가능성
• 수급과 뉴스의 관계
→ 뉴스 발표 후 외국인·기관이 매수/매도하는지 체크하여 추세 판단
→ 기술적 분석상 중요한 지점(저항선, 지지선)에서 수급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


4. 결론

뉴스(거시경제 지표, 달러, 금리 등)와 기술적 분석(수급, 볼린저 밴드, 데드 크로스 등)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뉴스는 시장의 기본적인 방향을 결정하고, 기술적 분석은 투자자들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투자를 할 때 뉴스와 기술적 분석을 조합하여 (1) 뉴스가 이미 반영되었는지, (2) 기술적 지표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지를 함께 고려하면 보다 정확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5. 주식자동매매및 선물자동매매 모의투자 프로그램 공유 사이트

 

https://cafe.naver.com/moneytuja

 

TuJa (Making algorit... : 네이버 카페

주식 자동 매매 프로그램, 성공적인 주식투자를 위한 알고리즘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cafe.naver.com

반응형

.link_t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