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간단하게 테이블 위젯에 업데이트된 종목을 삭제하는 법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원래 DB 저장/로드/삭제 전부다 강의하려고 했는데 시간이 너무 늦어 DB 관련해서는 다음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테이블 위젯에 선택된 종목 삭제하기
이번 강의는 기초반에서 다 했던 내용이라 이해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실 것입니다. 거기다가 오늘은 조금만 포스팅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데이블 위젯에 선택된 행의 정보를 모두 삭제하는 코딩을 해보겠습니다.
선정 종목 삭제 pushbutton의 objectName은 Deletcode 입니다.
아래와 같이 코딩 시작하겠습니다.
- self.Detetcode.clicked.connect(self.deltecode) : Detetcode 푸시버튼이 클릭되면 self.deltecode 함수가 실행되게 하였습니다.
아래는 deltecode 함수입니다.
- x = self.buylast.selectedIndexes() : selectedIndexes() 함수를 사용하면 우리 테이블 위젯인 buylast에 선택된 행과 열의 위치를 x에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3행 5열이면 x =[3, 5] 이런 식입니다.
- self.buylast.removeRow(x[0].row()) : 우리는 행의 정보만 지우면 되죠? 정보를 지울 때 removeRow 함수를 사용하고 위치는 x[0].row()입니다.
오늘은 심플하게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강의 때 DB 구축에 대해서 강의하겠습니다. 다음 강의는 생각보다 코드는 길지만 반복되는 내용이라 다들 이해하시기 편하실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자동매매 강의 > 중급반(시황 및 차트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자동매매] 분할 매수/매도 코딩하기(9), 키움서버로 매수/매도 종목의 현재가/거래량/호가 등의 정보 요청하기 (4) | 2022.07.25 |
---|---|
[주식자동매매] 분할 매수/매도 코딩하기(8), 선정 종목 DB 구축(저장, 로드, 삭제) (4) | 2022.07.23 |
분할 매수/매도 코딩하기(6), 종목명/종목코드 및 현재가 테이블 위젯(TableWidget)에 업데이트 하기 (21) | 2022.07.17 |
가치 투자 시 알아야 될 주식 종목 선정하는 방법(기관/외국인 수급, 재무제표, 눌림목의 의미) (5) | 2022.07.16 |
[주식자동매매] 분할 매수/매도 코딩하기(5), 종목명/종목코드 가져오기 (6)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