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급반 넘어오면서 포스팅 하나 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는군요. 자신만의 주식 위험도 프로그램 만들기 강의 마지막으로 이번 강의에서는 제가 만든 위험도 프로그램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시황 파악 및 투자 위험도 판단 프로그램
아래 그림과 같이 투자 점수 확인 프로그램 제작을 완료 하였습니다. 이전 강의에서는환율 데이터를 받아온 것을 기억하시죠?. 거기에 덧붙여 시황 파악 시 가장 중요한 10가지 데이터를 받아와 투자 위험도 점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습니다. 물론 디테일한 GUI 디자인이 더 필요하나 기능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었습니다. [링크 : 이전강의]

10가지 데이터는 아래와 같습니다.
- 환율 : 증시 영향력 고
- 원유 : 증시 영향력 고
- 미국 10년물 국채 : 증시 영향력 중
- 한국 소비자물가 지수 : 증시 영향력 중
- 변동성 지수 : 증시 영향력 중
- ADR 지표 : 증시 영향력 고
- 다우 존스 : 증시 영향력 중고
- 나스닥 : 증시 영향력 중고
- 전날 코스피 지수 : 증시 영향력 중
- 전날 코스닥 지수 : 증시 영향력 중
위의 10개의 데이터를 가지고 투자 점수를 환산할 때 반드시 딥러닝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환율 + B*원유 + .... J*코스닥 = 00점으로 환산할 때 우리는 A부터 J까지의 미지수를 계산해야 합니다. 미지수 계산 시 10개의 과거 데이터가 있어야 하며, Least Sqaure 등의 수학적 방법으로 최적 값을 도출해야 합니다. 즉, 과거를 빗대어 미래를 생각할 수도 있고 예상 점수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고급반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간단히 1차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하셔도 무방하니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그리고 10개의 데이터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고 증시에 어떠한 영향력을 전달하는지에 대한 설명 그리고 방향성은 다른 강의에서 최대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2. 시황 파악 및 투자 위험도 판단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황 분석
최근 주식 시장이 상당히 어렵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악재도 악재지만 비정상적인 하락 새이긴 합니다. 인플레, 유가, 전쟁 등을 다 떠나서 현재 소비력과 무역지수 등을 살펴보더라도 과도하게 하락한 것은 확실합니다.
따라서 투자 점수도 그렇게 낮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바닥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저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항상 내려갈 수는 없죠. 예를 들어 금융위기 때 ADR 지표가 40 후반대로 역사상 최 저점이었는데 현재 ADR 지표가 50 중반대입니다. 이는 이해할 수 없는 수치인데 이런 수치가 나오는 대표적인 것은 바로 공매도입니다. 당장 LG 엔솔만 보더라도 공매도 비중이 30%가 되었습니다. 이는 말도 안 되는 수치이며, 역사적으로 남을 만한 수치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가 외국인의 공매도 놀이터가 되었지만, 그들도 숏커버는 해야 되는 실정입니다.
말이 너무 길어졌는데, 어찌 되었든 개발된 프로그램을 바탕 삼아 앞으로 시황 전달을 하는 채널을 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도 앞선 강의를 참고하셔서 자신만의 위험도/판단 프로그램을 제작하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을 사용하신 분들은 하락장이 시작 되었을 때 전부 익절 또는 손절되어 현재 계좌에 비중이 10%정도만 들어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 시드를 발판삼아 이번 기회를 놓치면 안 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GUI를 어떻게 색을 입히고 예쁘게 만들 수 있는지 강의해 드리겠습니다. 다들 수고 많으셨고 힘내시기 바랍니다. 나스닥 -30.3%, 비트코인 -59.6%, 코스피 -23%, 코스닥 -30% 떨어졌습니다.
시황 전달 체널에서 레버리지를 매수할 구간을 전달해 여러분들이 10% 이상은 반드시 수익이 나 실수 있도록 해 드리겠습니다. 어차피 주식은 확률 싸움이고 데이터가 많은 사람이 이길수 밖에 없는 시장입니다. 프로그래머 알바가 여러분들 시장에서 적자생존(유아독존)하실 수 있도록 이끌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자동매매 강의 > 중급반(시황 및 차트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자동매매] 분할 매수/매도 코딩하기(2), GUI 만들기 (14) | 2022.07.07 |
---|---|
[주식자동매매] 분할 매수/매도 코딩하기(1), 개념 설명 (4) | 2022.07.05 |
원하는 뉴스 및 시황 데이터 받아와(크롤링, crowling) 자신만의 주식 위험도 프로그램 만들기(2) (7) | 2022.06.29 |
[특강] 웹크롤링(Web Crowling) 기초 개념과 코드 구현(with Python) (10) | 2022.06.27 |
원하는 뉴스 및 시황 데이터 받아와(크롤링, crowling) 자신만의 주식 위험도 프로그램 만들기(1) (5) | 2022.06.25 |